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105

28377d - CAN 예제 (loopback) 28377D 컨트롤 수트 예제 공부 (can_loopback.c) Loopback Mode (Technical reference 22.4.3.2 절) Loopback 모드에선 CAN 코어가 내부 피드백을 통해 Tx의 출력을 Rx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. 해서, 전송된 메세지가 수신된 메세지로도 취급 받음. 송신된 메세지는 CAN_TX 핀에 의해 모니터할 수 있음. (LBack 레지스터를 1로 세팅하여 Loopback 모드를 active할 수 있음) External Loopback 은 Rx신호가 TX pin 을 거치긴함. Loopback External Loopback TX메세지, RX메세지 구조체 선언 (can.h 에 정의) gpio 포트 CANRXA,CANTXA 맞게 핀 먹스 변경 CANA 이니셜라이.. 2021. 9. 9.
MS 워드 메모 글꼴 바꾸는법 MS 워드 메모 글꼴 바꾸는 법을 알아보자. 논문이나, 기타 문서등 수정할때 어떤식으로 고치겠다 혹은 누구한테 교정 맡길경우 메모기능을 유용하게 쓰고있는데. ​ 메모 글꼴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안바뀌더라.. ​ 예를들어, 메모 글꼴이 너무커서 바꾸거나, 폰트체를 바꿀경우에 일반 홈> 글꼴에서 수정해도 안바뀜.. ​ 바꾸는 법 ​ 스타일 혹은 ctrl + alt +shift + s 입력하면 ​ 위와 같은 창이 뜸. ​ 여기서 하단의 옵션 >> 표시할 스타일에 모든 스타일 선택 하면 ​ 여러가지 스타일이 등장하는데 여기서 ​ '풍선도움말텍스트' 우클릭해서 수정 >> 원하는 폰트로 바꾸면 됨. ​ 이렇게 하면 워드 메모 글꼴이 바뀌어짐 귀찮게 왜 홈에선 안바뀌게 해논거지;;; 2021. 9. 8.
TI C2000 28377D 모듈 공부 전력전자 제어용으로 6년 째 TI사의 28377d를 사용하고 있다. 사실 델피노다, 듀얼코어다, CLA까지 이용하면 쿼드코어나 다름없다 얘기만 무진장 들어왔지 굳이 28377d를 사용한 이유는 그냥 선배들이 써와서? 특별한 이유가 없었던 것 같다. 거기다 쓰는 모듈도 ePWM, ADC, GPIO 끽해봐야 eCAP .. 사실 이정도만 써도 단일 입/출력 갖는 하드웨어 제어 및 논문 용으로는 충분했었는데 유튜브나 학회 등에서 한참 뒤떨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지난 달 싱크웍스사의 TMS320F28X 개발보드를 구매해서 하나씩 예제를 따라해보고있다. https://www.tms320f28x.co.kr/goods/goods_view.php?goodsNo=200903127 적어도 사용하고 있는 모듈을 확실하게.. 2021. 9. 8.
MS 워드 수식, Mathtype 비활성화 푸는 법 Latex가 아닌 MS 워드를 이용하여 논문을 쓰다보면 아래 사진과 같이 수식 삽입이나 Mathtype 버튼이 비활성화 되어있는 당황스러운 경험을 한 적이 있을 것이다. ​ 위와 같은 일은 나의 경험으론, 보통 새로만든 문서에선 일어나지 않고 각 저널에서 배포하는 템플릿을 이용하여 작성할 때 발생한다. (특히 확장자 명이 모두 XML 기반 파일 형식이 아니고 오피스 03 이전의 확장자 명이었음.) ​ 엑셀이나 파워포인트 등의 모든 오피스 파일은 2003년 이후로 XLS->XLSX, PPT -> PPTX, DOC->DOCX로 기본저장형식이 변경되었다. (Office Open XML)파일이라고 함. ​ 더 효율적이고 작고 손상이 적은파일이 된다고 한다. ​ 간단하게 고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. 나의 경우 두.. 2021. 9. 6.